잉여가치율 추계 연구들에 대한 노트
생산적 노동 구분 문제에 대한 자료들을 한동안 열심히 보아오면서 뭐 의미있는 아이디어로 이끌지는 못했지만 그냥 드는 생각을 여기다 끄적여보고자 한다. 이름하여 "지난동안 한국의 잉여가치율 추계 연구들은 정말 의미있는 연구였을까?"하는 것. 이들을 언급하기 전에 우선 한국의 대표적인 잉여가치율 추계 연구들에 대해서 소개하자면 정구현(2016), 유철수(2012), 정성진(2005), 서한석(1991) 등이 있다. 잉여가치율과 생산적 노동이 무슨 상관? 잉여가치율 계산에 대한 계산 방법은 어렵지 않다. 왜냐하면 말그대로
정치경제학
2022. 4. 23. 1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