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노동에 임금을 캠페인과 여성의 가사노동자로의 고착화 가사노동의 문제는 나 자신에 있어 페데리치를 통해 인식했던 바, 무엇보다 고립된 전업주부에 대한 문제의식이다. 우리는 집을 떠니야 한다 그리고 우리에게 강제되어 왔으나 결코 그 대가조차 지불받지 못한 가사노동을 거부해야 한다. "가사노동에 임금을" 캠페인에 대한 흔한 비판으로 "여성을 가사노동자로 고착시킬 위험"을 들기도 한다. 이런 지적은 원론적으로 타당해보이긴 하지만, 특정 정세에서 이루어지는 어떤 운동들이든 그렇듯이.. 여러 정세를 두고 운동의 이득을 고려해야한다. 예컨대 여전히 가사노동에 임금을 주지 않는 현재까지도 전업주부의 사회적 고립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가사노동에 임금을 지급하는 것이 가사노동자로 고착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하더라도 그..
A. 서론 마르크스경제학에서 노동력이란 무엇일까? 노동력이란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노동이란 바로 이 노동력의 사용을 의미한다. 마르크스경제학은 이 둘을 엄격히 구분한다. 노동력의 가치에 대한 개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이채언(2009)을 참고하여 마르크스(1976)가 말하는 다음과 같은 노동력의 가치에 대한 세 가지 서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노동력을 재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시간 노동력을 가진 인간의 삶을 재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시간 노동력을 가진 인간의 삶에 필요한 생활수단의 재생산에 필요한 노동시간 이 세 가지는 서로 독립적인 정의가 아니라.. 마르크스가 순서대로 고쳐말한 것이다. 그래서 혼란스러운 점이 없지 않다. 어쨌든 이들 개념들에 대해 각각 살펴보도록 ..
- Total
- Today
- Yesterday
- 초속5센티미터
- 살상무기지원
- 오블완
- 인공지능
- 잉여가치
- 라멘아카네코
- 생산력우위태제
- 코헨
- 티스토리챌린지
- 신카이마코토
- 노동력
- 가족임금
- 가사노동
- 전형문제
- 논문읽기
- 셜록홈즈
- 내청코
- 여성주의
- 시점간단일체계
- 에릭올린라이트
- 자동분류
- 뒤메닐
- 이윤율
- 외톨이더락
- 시로바코
- 덕후감
- 넷플릭스
- 암호화폐
- 여성혐오
- 엘스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