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비아 페데리치의 「혁명의 영점」을 읽었다. 이 글은 가사노동논쟁과 관련한 다른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이번 독서에 대한 나름의 정리를 이끌어내기 위해 작성되었다.노동력의 가치와 가사노동가사노동은 노동력의 가치 개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주제이도 하다. 마르크스는 노동력의 가치를 노동력의 재생산에 필요한 생활재의 가치라고 정의한다. 하지만 이 재생산을 위한 (활동이 아닌) 노동(가사노동, 돌봄노동)은 가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단, 재생산노동을 수행하는 노동력이 상품이라면 이는 생산적 노동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업주부, 일하는 여성의 이중노동으로 수행되는 재생산노동들은 임금을 받지 않는 부불노동이 대부분이므로 이런 노동들에 대해서는 생산적 노동으로 볼 수 없다고 본다.이러한 지점에서 가사노동 논쟁의 초창..

일드 도망부끄 소개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는 무급가사노동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잘 묘사하고 있는 일본드라마이다. 주인공 모리야마 미쿠리는 심리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파견사원으로 취업하여 일하다가 계약만료를 당하면서 앞으로 무엇을 할 지 고민하는 나날을 보낸다. 그러면서 자신이 가사 일에 재미를 느낀다는 점을 알게 되고 또 다른 주인공이자 S/W 엔지니어인 츠자키 히라마사의 집에서 가사노동을 하지 않겠느냐고 아버지에게 제안 받아 일을 시작하게 된다. 여기서 사건이 발생한다. 미쿠리의 부모님들이 매우 먼 시골로 이사를 결정하게 되고 그곳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을 것이고 그 시골 생활에 자신이 버틸 수 없을 거란 걸 느낀 미쿠리는 츠자키와 계약결혼을 하고 가사노동에 대한 서비스로 소득..
프레이저와 하버마스낸시 프레이저의 "전진하는 페미니즘"을 읽다가 가사노동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서 이전에도 생각했던 내용을 끄적여본다.프레이저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서 범주 프레임이라는 것이 있다고 언급한다. 즉 상징적 재생산과 물질적 재생산의 구분이 그것이다. 이때 자녀양육의 과정을 상징적 재생산, 임노동과 같은 과정을 물질적 재생산으로 구분한다고 한다.이(인용자:하버마스)에 따르면 둘 중 어느 한 가지가 ㅂ베타적 혹은 우선적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임금노동 영역을 구성하는 행위와 실천은 그에게 물질적 재생산 활동으로 간주된다. (...) 그와는 대조적으로 가내 영역에서 여성들이 무임금으로 수행하는 자녀양육 행위와 실천(괄호 생략)은 상징적 재생산 활동으로 간주된다. 그의 관점..
- Total
- Today
- Yesterday
- 초속5센티미터
- 여성주의
- 여성혐오
- 시점간단일체계
- 외톨이더락
- 인공지능
- 자동분류
- 가사노동
- 넷플릭스
- 진격거
- 논문읽기
- 잉여가치
- mx4d
- 엘스터
- 시로바코
- 노동력
- 이윤율
- 전형문제
- 신카이마코토
- 코헨
- 가족임금
- 내청코
- 티스토리챌린지
- 뒤메닐
- 덕후감
- 암호화폐
- 오블완
- 에릭올린라이트
- 생산력우위태제
- 셜록홈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