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논문의 경우 SCI-HUB를 통해 주로 도움을 얻고는 하는데, 예전에 주소가 변경되어 해맸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사이허브 제작자가 최상위 도메인 부분을 두 자릿수 내에서 알파벳만 변경하는 것을 보고 단순히 Ping을 보내서 유효한 URL인지만 검증하면 되지 않을까? 해서 만들게 되었습니다. I have been assisted by my SCI-HUB for my overseas dissertation. The domain administrator of SCI-HUB seems to change only the alphabet in The top-level domain(TLD) within two digits. If so, you can ping the number of all cases to ..

여기에서의 예제는 HOSANG JEON님 블로그 글 [JAVA 코드로 이해하는 블록체인(BLOCKCHAIN)]에 나온 JAVA 코드의 예제를 C#으로 컨버팅(converting)한 것임을 밝힌다. 해당 글의 예제를 이용하게 된 이유는 네트워크 노드를 실제로 구현하지 않고 하나의 스레드 안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나 블록체인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기에 매우 적절한 구조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입문 차원에서 적절한 예제로 판단된다.(작업증명이 없는 게 아쉬운 점이긴 하다) 다만 먼저 본 글의 예제는 JAVA로 되어 있었기에 내게 익숙한 C# 코드로 칸버팅하는 작업을 해보았다. 칸버팅은 창조적인 작업보다는 거의 베끼기이니 뭐 거의 어렵지 않았다ㅎㅎ (콘솔용 C#이다) 물론 JAVA가 더 익숙한 분이라면 링크한 ..

슈타인즈게이트 TV판 11화를 보면 다루가 CERN과 다이렉트로 회선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아래 그림처럼 게임판에서는 커맨드 창을 보여주면서 라우트 구간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은 간혹 회사 내부의 네트워크 라우트에 문제가 있거나 할 때 자신이 어떤 라우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사용하기도 하며 또는 네트워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확인할 일이 있는 경우도 있다. 보통은 내부 확인용으로 많이 쓰지만 다루의 경우처럼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 키 + r 혹은 시작->실행 을 하면 입력창이 좌측 하단에 뜨게 되고 거기에서 "cmd"를 눌러 커맨드 창을 띄우자. 예컨대 내 PC에서 네이버로 가는 모든 라우트 구간을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의 명령어로 충분하다. C:\> ..

오늘 써오던 앱이 갑자기 이 앱을 신뢰합니다라는 체크박스가 안 눌려지는 것이다. 보기에는 비활성화가 아닌 것 같은데 왜 안 눌려지는갈까. 진짜 엄청 알아보았더니 결국 문제는 따로 쓰고 있던 블류라이트 차단 필터 앱 때문이었다.. 이걸 비활성화 했더니 체크가 잘 됨ㅋ 자세히 알아보니 블류라이트 차단 필터 앱은 구글의 보안정책에 준수하다보니 이런 경우 체크가 안 되도록 막아놓는 것으로 알려진 듯. 이건 아래와 같은 설정 때문이다. 물론 고마운 기능이긴 한데 그만큼 그 앱에 대해 신뢰할만한 것인지 잘 생각해봐야할 것 같다. [이관 글. 2015-08-27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