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죽음 논쟁과 노동가치설
이 글은 문혜림(2014)의 논문에 대해 후기를 쓸 겸 작성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계급론은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을 의미한다. 1. 계급죽음 논쟁과 계급론의 추상수준에 대한 문제 계급죽음 논쟁은 4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고 한다. 여기서 문혜림이 1차부터 4차로 구분한 것들을 일일이 여기서 정리할 필요는 없을 것이고(직접 읽어보라) 여기서 내가 가장 관심을 갖고 보았던 추상수준에 대한 문제만 언급하도록 하겠다. 계급죽음 논쟁은 니스벳(1959)에 의해 출발한다. 그는 미국 사회가 계급사회인가에 대해 부정적인 주장을 펼쳐 계급죽음 논쟁을 촉발시키게 된다. 하지만 서구 사회의 대부분에 한해 봤을 때, 특히 미국의 경우, 계급 개념이 대개 사라졌다. 부와 권력, 지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유용한 조사는 현대 ..
정치사회이론
2021. 5. 29. 2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