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르크스경제학의 새해석 계열에서 제기하는 문제 중에 중간재의 이중계산 문제라는 게 있다. 전형문제에서 총계일치를 총계로 계산하지 않고 순생산물에 대해 계산하는 하나의 논거로서 제시되었다. 즉 총계로 집계할 때 중간재를 포함하면 그 중간재를 생산했던 부문의 가치가 이중으로 집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새해석은 부문의 진정한 "부가가치"를 얻는다는 목적에서 보면 맞는 말인 듯도 하다. 쳐맞는 말 이중계산의 예시 3 부문만 존재하는 경제를 가정하자. A, B는 중간재와 생활재를 생산하고 C는 중간재를 투입하여 생활재를 생산하는 부문이다. 투입-산출 관계는 A->B->C로 이루어져있다. 아래의 그림을 보자. 예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가치 단위로 설명해보도록 하자. A는 최종적으로 20개의 물량을 생산하고 ..
정치경제학
2021. 5. 30. 0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