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서론
단순한 노동과 복잡한 노동의 구분 문제를 얘기하며 보통은 복잡한 노동이 더 많은 가치를 생산한다고 보는 것이 전통적으로도 현대적으로도 중론이다. 그런데 여기에 차원을 하나 더 집어넣어 "숙련도"라는 변수를 넣으면 이 관계는 역전될 수 있을까? 즉 단순한 노동도 숙련도가 높아지면 복잡한 노동의 미숙련 노동력이 생산하는 가치를 넘어설 수도 있는 것이 아닐까? 이것이 오늘의 의문이다. 이 의문은 이론적으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실증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일 것이다.
우선 다음의 표를 고려해보자.
(생산하는 상품 단위당 가치) | 숙련도가 낮은 노동력 | 숙련도가 높은 노동력 |
단순한 노동 | ⓐ | ⓑ |
복잡한 노동 | ⓒ | ⓓ |
이론에서는 각 노동력들이 생산하는 상품 단위당 가치는 ⓐ<ⓓ라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라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을까?
애석하게도 가치라는 것은 관측할 수가 없다. 그렇다면 대응하는 지표로서 총노동시간(노동시간×노동인구)을 계산하면 되지만 그렇게 된다면 노동인구수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이럴 경우 "임금률 균등 가정"에 따라 임금을 지표로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1
2. 데이터 수집
먼저 고용노동통계에서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를 보면 직종과 경력연수가 조사된 내용이 있다. 이 데이터에서 관리자 및 전문직을 뺀 직종을 대상으로 전체 경력연수를 월임금총액으로 표를 아래와 같이 구성해보았다.
(월임금총액) [천원] | 1년미만 | 1~3년미만 | 3~5년미만 | 5~10년미만 | 10년이상 | 전 경력 |
단순노무 종사자 | 1,843 | 2,080 | 2,156 | 2,301 | 2,555 | 2,199 |
서비스 종사자(4) | 1,520 | 1,736 | 1,893 | 2,108 | 2,616 | 1,928 |
사무 종사자(3) | 2,461 | 2,868 | 3,253 | 3,864 | 5,400 | 4,185 |
판매 종사자(5) | 2,156 | 2,618 | 2,934 | 3,346 | 4,634 | 3,399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6) | 2,095 | 2,391 | 2,494 | 2,851 | 3,101 | 2,722 |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 2,476 | 2,834 | 3,011 | 3,404 | 4,149 | 3,480 |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 2,375 | 2,676 | 2,856 | 3,250 | 4,230 | 3,405 |
대체로 단순노무 직종보다 사무 직종은 더 복잡하다. 하지만 숙련도로 이들의 1년 미만 임금을 따라잡으려면 10년이라는 경력연수가 필요하다. 이런 경우 ⓑ<ⓒ는 성립한다. 그런데 서비스 직종은 분명히 단순노무보다 복잡한데도 여기서는 ⓑ>ⓒ로 역전된다. 서비스 종사자가 단순노무 직종의 1년 미만 임금을 따라잡으려면 3년 이상의 경력연수가 필요하다.
3. 결론
이론의 영역에서 말하는 단순-복잡 노동의 관계는 사실 극단적인 경우에 한해 말할 수 있을 것이고 그 중간에는 예상과 맞지 않게 된다. 이런 점이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환원문제"와 관련한 문제를 낳는다. 어떤 직종의 노동이 복잡하든 간에 그 노동이 생산하는 상품 단위당 가치는 단순한 노동의 미숙한 노동이 생산하는 가치로 환원할 수 있다고 할 때, ⓑ<ⓒ가 성립하지 않는 어떤 직종과 숙련도를 갖는 직종
- Krause, U. (1982). Money and abstract labour. NLB/Verso. [본문으로]
'정치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잉여가치율 추계 연구들에 대한 노트 (0) | 2022.04.23 |
---|---|
최저임금제도와 임금의 신비화 (0) | 2022.03.14 |
착취율 곡선과 베타 분포의 관계 (1) | 2021.11.20 |
Nick Potts의 MMI 논의에 대한 간략한 평 발췌 (0) | 2021.11.13 |
"쌀을 판다"는 말과 가치형태 (1) | 2021.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