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폐쇄공간閉鎖空間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폐쇄공간閉鎖空間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361) N
    • 덕후감 (154) N
    • 고전게임 정주행 (19)
    • 정치경제학 (89)
    • 정치사회이론 (21)
    • 시사 (30)
    • 질문들 (4)
    • 독서노트 (2)
    • IT (20)
    • ETC (22)
      • 에세이 (4)
      • 단편소설 (7)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361)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3기 간단 후기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3기 1~11화  (TVA)참으로 오랜 시간이 흘러 3기 제작이 되어 기쁘게 생각했다. 하지만 뭐랄까. 역시 명작은 1, 2기였다는 생각이 든다. 3기는 왕녀 아이리스의 초대 그리고 왕궁에서의 에피소드 그리고 이어지는 다크니스의 불행한 결혼을 해소하는 이야기 줄기로 이루어져있다.2기에서는 그래도 메구밍과 카즈마가 섬씽이 있는 것이라면 이번 3기에는 아예 대놓고 카즈마와 다크니스를 맺어줄 각오가 무척 많이 보였다.개인적인 의견으로 카즈마는 메구밍이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다크니스와 카즈마는 같은 상성이 있어 안맞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다크니스와 카즈마 둘 다 변태(?)이기 때문에 둘이 맺어지면 둘 다 망가지고 나락을 간다. 100% 확신한다...이에 반해 ..

덕후감 2024. 7. 21. 02:44
이번 북러조약에 대한 간단논평

이번 북러조약에서 양국간에 전쟁이 발발할 시 자동적인 군사지원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소식을 들으며 생각이 들었던 점은 딱 하나이다. 바로 이전까지의 미국의 대북정책이 유효했었던 모든 조건들이 이제는 완전히 달라졌다는 것이다.첫째. 대북무역제재력의 약화이다. 그동안 북한에 대한 서방의 무역제재는 분명 성공적이었고 북한에 상당한 데미지를 줄 수 있었다. 이 덕에 미국은 북한을 여러 번 협상테이블로 불러올 수 있었던 거다. UN 회원국인 중국과 러시아도 서방의 눈치를 보며 무역제재에 (소극적이긴 하지만) 동참해야했다. 이제는 러시아와의 경제 관계가 기존 대북제재 이전으로 회복된다면 제재력은 힘이 떨어질 것이다. 앞으로 북러간 경제적 관계가 어떤 방향으로 갈지 지켜볼 문제 같다.둘째. 트럼프가 북한과 협상..

시사 2024. 6. 20. 21:28
한국전쟁 전사 리뷰

한국전쟁의 전사를 다룬 경우는 보통 드문데.. 이번에 와다 하루키의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정전 70주년인 2023년에 출판되었었다. 이번 기회에 읽게 되어 무척 기뻤다. 더군다나 이 책은 소련이 해체된 후 공개된 비밀문건들을 상당수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볼만한 자료가 많다.우선 이 책을 통해 다음의 질문들을 해소할 수 있었기에 이를 중점으로 리뷰를 작성해보고자 한다.스탈린은 남침을 불허해왔다가 왜 입장을 바꿨는가?미국은 북한의 움직임을 알고 있었나?왜 정전협정 중에도 전쟁을 멈추지 않았나?정전협정 당사자로 한국은 왜 참여하지 않았나?참고로 이 책은 이외에도 많은 내용들을 담고 있다. 위의 물음은 개인적으로 정리가 필요했던 질문이었기도 하여 선택된 것일 뿐임을 참고바란다.스탈린은 왜 입장을 바꿨..

시사 2024. 6. 15. 18:11
페르소나3 리로드 후기

페르소나3 리로드(이하 P3RE)는 원작인 페르소나3(이하 P3)의 리메이크 게임이다. P3를 해본 적은 없어서 잘 모르지만 그 명성은 익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기대를 하며 플레이를 시작했던 것은 사실이다. 워낙 오래된 게임이기도 해서 원작을 하기 어려웠던 이들에게는 P3RE가 좋은 기회일 것이다.나는 P3를 한적은 없으나 그 이후의 시리즈 페르소나4, 페르소나5(이하 P4, P5)를 했던 측면에서 이들과 이번 P3RE를 비교해 볼수는 있을 것 같다. 일단 총공격이라는 시스템은 건재하였고 연출도 훌륭했다. 개인적으로 주변에 먼지구름이 끼며 여러 명이 우당탕탕 하며 다구리(?)를 치는 느낌을 주는 P4의 총공격 스타일을 좋아하는 편이다. P3RE는 바로 그 P4의 느낌을 잘 유지한 거 같다.그리고 커..

덕후감 2024. 6. 14. 00:16
인공지능과 기본소득 논의는 자본의 공공성에 눈을 돌린다

다중 퍼셉트 이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컴퓨터과학자 제프리 힌튼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우려하며 보편적 기본소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대표도 SNS를 통해 인공지능시대를 기본소득제도로 준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그런데 이런 식의 논의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제재할 수 없다는 식으로 무기력한 태도를 만든다. 또한 기술발전만큼 요구되는 자본의 공공성과 사회성에 눈을 돌리게 만든다. 그거는 그거고 이거는 이거다. 기본소득은 단편적인 문제만 해결할 뿐이다. 인공지능의 위해성은 실업 문제 그 이상의 문제를 우리 사회에 남길 것이기 때문에 제재는 불가피한 것이다.이번에 채택된 UN의 인공지능 결의안은 거버넌스 단위로 이 문제를 논의함에 있어..

시사 2024. 5. 24. 18:13
역사유물론 연구 리뷰

에티엔 발리바르의 [역사유물론 연구]가 관통하고 있는 주제를 3가지로 꼽자면 다음과 같다. 1) 1989년 번역본에서 누락된 3장 부록과 5장의 의미 2) PT독재 이론 3) 정치경제학 ‘비판’ 이론?이다. 바로 서론 없이 본론으로 빠르게 넘어가도록 하자.누락 번역된 3장 부록과 5장의 의미이 책은 국내에서 1989년 번역본이 나온 적이 있다고 한다. 이때 흥미로운 이야기가 하나 있는데, 그 당시 번역본에는 3장 부록과 5장이 빠져 있었다는 것이다.어떠한 알 수 없는 사정에 의해 어쩔 수 없이 5장과 3장의 부록이 번역에서 누락된 것이든, (…) 그 자체로 이러한 누락은 우리 세대가 앞으로 해명해 나가야 할 증상이며 또한 지식사회학의 연구대상이다. 이런 류의 주제는 알튀세리앙들이 그냥 넘어가기 어려운 "..

정치사회이론 2024. 5. 8. 12:50
식대 2700원. 가장 악랄한 착취형태

학교에서 일하시는 비정규직 청소노동자 분께서 식대 월 12만원을 받으며 일하고 계셨다. 이분이 속한 노동조합에서는 학교 측에 월 2만원 인상을 요구했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식대 월 12만원도 충격이지만 2만원 인상 요구안은 어느 정도 현실적인 타협안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이 정도 안을 학교측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노동절에 이런 소식을 듣게 되서 무척이나 심난하다.영상에 나온 2700원이란 건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른 결과다. 서울 14개 대학들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식대가 평균 2700원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인터뷰에 나온 분만의 문제를 떠나 대학사회의 비정규직 문제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의미이다.위에서 언급한 식대 2700원의 사례는 "임금은 노동에 대한 가치다"라고 말하는..

시사 2024. 5. 1. 20:48
용과 같이 7 외전 이름을 지운 자 후기

용과 같이 시리즈는 사실 한 번도 해본적이 없다. 나 같은 고인물 세대들은 조폭물에 실증을 느낄만 하다는 걸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옛날에는 정말 발에 채이는 미디어물은 다 조폭물이었으니까 게임에서까지 이런 걸 해야 하나 싶었던 거다. 게다가 조폭물은 다 조폭을 미화한다는 것이 내가 싫어하는 가장 큰 이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게임 그것도 전혀 스토리도 알지 못하는 시리즈의 외전을 하게 된 동기는 어처구니 없게도 게임패스 때문이었다. X-BOX 게임패스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이렇다 할 게임을 못찾다가 이 게임을 발견했다. 액션게임으로서는 예전에 해봤던 저지아이즈 시리즈를 떠올리게 만들만한 것이었다. 당연하게도 같은 개발사에서 만들었고 저지아이즈는 용과 같이 시리즈에 영향을 받은 것이었으니... 어쨌든 그..

덕후감 2024. 4. 17. 22:49
이전 1 ··· 5 6 7 8 9 10 11 ··· 46 다음
이전 다음
TAG
  • 여성주의
  • 티스토리챌린지
  • 시점간단일체계
  • 논문읽기
  • 진격거
  • 뒤메닐
  • 셜록홈즈
  • 이윤율
  • 자동분류
  • 에릭올린라이트
  • 신카이마코토
  • 내청코
  • 초속5센티미터
  • 잉여가치
  • 여성혐오
  • 전형문제
  • 가사노동
  • 인공지능
  • 엘스터
  • 덕후감
  • 생산력우위태제
  • 노동력
  • 암호화폐
  • 가족임금
  • 넷플릭스
  • 외톨이더락
  • 코헨
  • 시로바코
  • mx4d
  • 오블완
more
최근에 달린 댓글
공지사항
  • 대댓글과 관련하여
  • 광고를 내렸습니다
  • 이사를 완료하였습니다
  • 이전 블로그에서 이곳으로 옮기는 중입니다
링크
  • 현정경의 프로필
  • 인사하러 가기
  • 폐쇄공간 페이스북 페이지
  • 정치경제학봇(트위터)
Total
Today
Yesterday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