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하지 않게 하는 보좌진위험한 철학자라 하는 슬라보예 지젝은 미국 제 45대 대통령 선거 때 트럼프를 지지한 바 있다. 그의 생각은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어 미국이 망해버리면 미국 정치가 정신을 차릴 거라 생각했다나 뭐라나.그러나 그는 대통령 주위의 보좌진들이 망할 수 없게 브레이크를 걸 가능성을 보지 못했다. (북한 열병식 때 쓸어버리자는 트럼프 당시 대통령을 보좌진들이 겨우 말렸다는 사례를 생각해보자) 그래서... 어찌보면 이때 미국이 못망해서 트럼프가 다시 공화당 대선후보가 된거 아닐까 싶은..?망하게 하는 보좌진이와 달리 윤석열 대통령의 경우 보좌진들이 망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尹 개인의 생각이 어떤지는 모르지만, 尹은 분명 캠프 시절 윤봉길기념관을 방문하여 건국 토대인 헌법정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g8EFL/btsJiNvgqFI/8EB6GVu5J5Dc55wHPelh1k/img.png)
우리 사회에서 딥페이크 범죄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여실히 보여주는 제보 사이트가 있어 소개한다. 바로 딥페이크 범죄가 일어난 학교에 대해 제보를 받아 지도 맵에 표시하는 웹사이트이며 한 중학생이 공익적 목적으로 만들었다고 들었다. https://deepfakemap.xyz/ 딥페이크 피해학교 지도 deepfakemap.xyz오늘 기준(24/08/28) 맵을 보면 학교만 보는 것인데도 딥페이크 범죄가 대한민국의 청소년 남성층에서 얼마나 만연한 상황인지 여실히 보여준다.또 하나의 사례로 딥페이크 범죄를 위한 한 텔레그램 방에는 22만명의 계정이 있었다고 한다. 이들의 범죄대상은 학교친구, 회사사람, 가족, 아내를 가리지 않았다고 한다. 위의 맵은 학교만을 한 것인데.. 이걸 보면 연령대를 가리지 않는 문..
제목 그대로이다. 북한에서 날리는 오물풍선 중 일부가 자주 용산 대통령실 아래로 떨어진다고 하던데..그래서 너무 불안하다.. 윤석열 대통령 시기에 다시 대통령실을 이전할 일은 없겠지만.. 다음 정권에서는 옮겨야 할 것 같다.북한과 관련한 안보 상황이 불안정한 현 상황에서 대통령실 위치를 용산으로 옮긴건 분명 전략적 미스인 것 같다. 물론 청와대라고 안전했을까..? 싶긴 하지만 이왕 옮길 거 아예 세종으로 내려가지 그랬나 싶다.다음 정권에서는 다시 옮기는게 어떨지 싶다. 또 한 번 런승만을 만들 각오가 아니면 말이다.
펜데믹 이후 시작된 북한의 국경봉쇄가 북한 주민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매우 잘 보여주는 인터뷰이다.제2의 고난의 행군국경봉쇄 이후 북한 주민의 증언은 "제 2의 고난의 행군"이라고 언급할 정도로 상황이 처참한 것으로 보여진다. 북한은 여태까지 김정일 하에서 일어난 고난의 행군 이후부터 국경봉쇄 전까지는 그래도 중국 국경에서의 밀거래를 통해 재생산은 가능한 수준의 경제였을 것으로 추측된다.펜데믹과 고난의 행군 비교 : 정권의 통제력 강화정권의 통제력을 고난의 행군과 펜데믹을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롭다. 고난의 행군 당시에는 정권의 통제력이 부실했기 때문에 국경에서의 밀거래를 막을 수 없었지만 어찌보면 북한 정권에겐 지하경제 덕에 숨을 돌릴 시간을 벌었을지도 모른다. 펜데믹과 함께 과거 고난의 행군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XbkB/btsH6OXiIm7/1KxZQAuGtcFNNa7TPH0JO1/img.jpg)
이번 북러조약에서 양국간에 전쟁이 발발할 시 자동적인 군사지원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소식을 들으며 생각이 들었던 점은 딱 하나이다. 바로 이전까지의 미국의 대북정책이 유효했었던 모든 조건들이 이제는 완전히 달라졌다는 것이다.첫째. 대북무역제재력의 약화이다. 그동안 북한에 대한 서방의 무역제재는 분명 성공적이었고 북한에 상당한 데미지를 줄 수 있었다. 이 덕에 미국은 북한을 여러 번 협상테이블로 불러올 수 있었던 거다. UN 회원국인 중국과 러시아도 서방의 눈치를 보며 무역제재에 (소극적이긴 하지만) 동참해야했다. 이제는 러시아와의 경제 관계가 기존 대북제재 이전으로 회복된다면 제재력은 힘이 떨어질 것이다. 앞으로 북러간 경제적 관계가 어떤 방향으로 갈지 지켜볼 문제 같다.둘째. 트럼프가 북한과 협상..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epio6Z/btsH0v4FBI7/6kO6dn2nCcwQFthW0xCmZk/img.jpg)
한국전쟁의 전사를 다룬 경우는 보통 드문데.. 이번에 와다 하루키의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정전 70주년인 2023년에 출판되었었다. 이번 기회에 읽게 되어 무척 기뻤다. 더군다나 이 책은 소련이 해체된 후 공개된 비밀문건들을 상당수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볼만한 자료가 많다.우선 이 책을 통해 다음의 질문들을 해소할 수 있었기에 이를 중점으로 리뷰를 작성해보고자 한다.스탈린은 남침을 불허해왔다가 왜 입장을 바꿨는가?미국은 북한의 움직임을 알고 있었나?왜 정전협정 중에도 전쟁을 멈추지 않았나?정전협정 당사자로 한국은 왜 참여하지 않았나?참고로 이 책은 이외에도 많은 내용들을 담고 있다. 위의 물음은 개인적으로 정리가 필요했던 질문이었기도 하여 선택된 것일 뿐임을 참고바란다.스탈린은 왜 입장을 바꿨..
다중 퍼셉트 이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컴퓨터과학자 제프리 힌튼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우려하며 보편적 기본소득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대표도 SNS를 통해 인공지능시대를 기본소득제도로 준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그런데 이런 식의 논의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제재할 수 없다는 식으로 무기력한 태도를 만든다. 또한 기술발전만큼 요구되는 자본의 공공성과 사회성에 눈을 돌리게 만든다. 그거는 그거고 이거는 이거다. 기본소득은 단편적인 문제만 해결할 뿐이다. 인공지능의 위해성은 실업 문제 그 이상의 문제를 우리 사회에 남길 것이기 때문에 제재는 불가피한 것이다.이번에 채택된 UN의 인공지능 결의안은 거버넌스 단위로 이 문제를 논의함에 있어..
학교에서 일하시는 비정규직 청소노동자 분께서 식대 월 12만원을 받으며 일하고 계셨다. 이분이 속한 노동조합에서는 학교 측에 월 2만원 인상을 요구했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식대 월 12만원도 충격이지만 2만원 인상 요구안은 어느 정도 현실적인 타협안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이 정도 안을 학교측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노동절에 이런 소식을 듣게 되서 무척이나 심난하다.영상에 나온 2700원이란 건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른 결과다. 서울 14개 대학들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식대가 평균 2700원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인터뷰에 나온 분만의 문제를 떠나 대학사회의 비정규직 문제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의미이다.위에서 언급한 식대 2700원의 사례는 "임금은 노동에 대한 가치다"라고 말하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외톨이더락
- 이윤율
- 여성주의
- 셜록홈즈
- 덕후감
- 노동력
- 잉여가치
- 엘스터
- 넷플릭스
- 시점간단일체계
- 티스토리챌린지
- 시로바코
- 오블완
- 초속5센티미터
- 코헨
- 뒤메닐
- 논문읽기
- 신카이마코토
- 인공지능
- 살상무기지원
- 자동분류
- 전형문제
- 에릭올린라이트
- 라멘아카네코
- 생산력우위태제
- 가사노동
- 암호화폐
- 여성혐오
- 내청코
- 가족임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